Advertisement banner image
Advertisement banner image
Image at ../data/upload/1/2629931Image at ../data/upload/9/2629869Image at ../data/upload/5/2629845Image at ../data/upload/1/2629761Image at ../data/upload/0/2629730Image at ../data/upload/7/2629517Image at ../data/upload/3/2628733Image at ../data/upload/9/2628729Image at ../data/upload/8/2628728
Sub Page View
Today Page View: 330
Yesterday View: 99,039
30 Days View: 2,782,521
Image at ../data/upload/5/1418285

필리핀 쌀요리 참포라도 아시는 분 계신가요?(15)

Views : 30,346 2018-12-22 22:21
자유게시판 1274107293
Report List New Post
안녕하세요 필리핀 사람들은 진짜 쌀을 좋아하더군요. 졸리비에서도 치킨과 라이스 셋트가 있을 정도나까요. 혹시 여기 나오는 필리핀 쌀요리 드셔본 적 있으신분 계신가요? 저는 안먹아봐서 맛이 궁금하네요.

출처 : redfriday.co.kr/138

쌀은 우리나라에서는 주식으로 거의 반찬과 기본적으로 함께 먹거나 볶아서 먹습니다. 그러나 세계 각국에서는 그 나라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쌀을 요리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? 아시아 각국에서 쌀로 만드는 각 나라 대표 요리를 알려드립니다.


1. 인도네시아 : 나시고랭

나시고랭은 인도네시아식 볶음밥입니다. 그러나 중국식, 또는 하와이식 볶음밥과는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. 나시고랭의 가장 큰 특징은 단맛이 도는 진간장을 웍에 살짝 태우거나 캐러멜화시켜 스모키 한 향과 맛이 난다는 점입니다. 또한 나시고랭에는 뜨라시(terasi)라는 소스를 사용하는데, 이 소스는 새우를 발효시켜 만든 매콤한 소스로 볶음밥의 감칠맛을 한층 높여줍니다. 나시고랭은 매콤하며 달콤하고, 짭짤하며 새콤함이 어우러져 세계의 모든 미식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. 인도네시아뿐만이 아니라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 등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.


2. 필리핀 : 참포라도

참포라도는 필리핀식 초콜릿 죽입니다. 초콜릿, 쌀, 설탕, 우유를 함께 넣어 끓여 만드는데, 한국인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조합일 수 있으나 필리핀에서는 아침 식사, 디저트, 간식으로 많이 먹는 음식입니다.


3. 중국 : 차오판 (중국식 볶음밥)

차오판은 중국식 볶음밥입니다. 계란을 넣어 짭짤하게 볶아져 나오며 안에 들어가는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. 중국 여행 시 중국 음식이 입맛에 안 맞는 사람들도 중국 차오판은 잘 먹을 정도로 대중적인 맛입니다.


4. 인도 : 바스마티 라이스

인도의 바스마티 라이스는 한국의 쌀보다 더 얇고 길쭉하게 생겼으며 특유의 스파이시한 향과 맛이 있습니다. 바스마티(basmati)는 '향긋한 것'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 쌀은 보통 매콤한 치킨 카레와 함께 먹습니다. 우리나라 쌀은 햅쌀이 좋으나 바스마티 라이스는 와인처럼 적어도 12개월~18개월은 묵혔다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

5. 일본 : 초밥

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일본도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찰기가 있는 쌀을 사용합니다. 밥알이 살아있도록 밥을 지어 여기에 식초와 소금으로 간을 적절히 한 밥 위에 고추냉이와 신선한 재료를 얹어 먹으면 되는 쉬운 요리이나 한국에서 제대로 된 초밥을 만드는 곳을 찾기는 다소 어렵습니다.


6. 대만 : 루러우판 (돼지고기 덮밥)

대만식 돼지고기 덮밥은 다진 돼지고기를 갖은 양념과 간장에 재어 두었다가 뭉근히 끓여 흰쌀밥위에 얹어먹는 요리입니다. 대만인의 소울푸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요리는 지역과 개인차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먹을 수도 있는데 밥 대신 면과 함께 먹어도 되고, 버섯이나 계란을 곁들여 먹기도 합니다.



출처: redfriday.co.kr/138
Link : https://redfriday.co.kr/138
  본 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?
Report List New Post
차우킹 [쪽지 보내기] 2018-12-22 22:52 No. 1274107301
50 포인트 획득. 축하!
두달에 한번정도 먹습니다 ^^
먹을만합니다 ㅎ
philcafe24.com [쪽지 보내기] 2018-12-22 23:08 No. 1274107321
38 포인트 획득. 축하!
팥죽을 설탕에 말아먹는느낌 ㅠㅠ
궁금하다구요 [쪽지 보내기] 2018-12-22 23:17 No. 1274107331
32 포인트 획득. 축하!
팥죽같은데 식감이 좀 별루라서
좋아하진 않아요.
babydo****@네이버-54 [쪽지 보내기] 2018-12-22 23:25 No. 1274107335
43 포인트 획득. 축하!
초코렛맛 쌀죽;첨엔 적응 할수 없는 이상한 맛이었으나 가끔 먹으면 이젠 술술 잘 넘어갑니다.입맛이 필 현지화 되어서 변한거 같아요.ㅎㅎ
babydo****@네이버-54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00:11 No. 1274107378
40 포인트 획득. 축하!
@ babydo****@네이버-54 님에게...
위의 사진 속의 제품은 인스턴트라 별로였는데 언젠가 바기오의 호텔에 조식으로 챰포라도와 튀긴 말린 생선을 같이 식초에 찍어 먹었는데 넘 맛있게 먹었던 기억이 있어요.
흑랑@네이버-51 [쪽지 보내기] 2018-12-22 23:37 No. 1274107362
39 포인트 획득. 축하!
저희 집에도 있어요. 코코아에 밥 말아 놓은거라고 보심 비슷한거 같네요. 와이프가 한국 죽은 별 맛이 나지 않아!! 라고 하는데 답변을 못하겠더라구요. 사실 한국 죽들은 맛들이 밍밍하잖아요. ㅎㅎㅎ 처음 이거 도전했을때 그 강렬한 맛은 잊을수 없습니다. 초콜렛맛 죽이라니.... 정말 새로운 세상을 경험했습니다!! ㅎㅎㅎ
만타타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00:51 No. 1274107386
43 포인트 획득. 축하!
필리핀 참포라도 먹어본 1인.

너무 달아서 먹기 어렵더군요


중국도 그렇고.. 동남아는 재료의 본맛을 찾아 먹는게 아니라 ..

모든 음식에 드립다 설탕 부어서 먹는거 같더군요.


복동이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06:13 No. 1274107445
41 포인트 획득. 축하!
전 의외로 맛있던데요..

밤늦게 출출하면 한포씩 먹지요
김선호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07:35 No. 1274107456
30 포인트 획득. 축하!
필리핀 사람들 단음식 엄청좋아하지요
설탕을...
냉수한그릇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10:09 No. 1274107504
47 포인트 획득. 축하!
인기프로그램 서울메이트에서 김숙의 게스트로 왔던 필리핀 쌍둥이 자매가 필리핀 귀국날 고마웠다고 김숙한테 아침 만들어줬었는데 그 메뉴가 참포라도였어요.
그로인해 아시는분들이 많이생겼을거에요.
모든 사람이 신기해할 비주얼이긴하죠.
진행자들 반응은 헐~~??!!! 이었구요...
김숙은 달아서 못먹었었어요.
Sengwhan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11:18 No. 1274107530
49 포인트 획득. 축하!
참포라도는 느끼한 느낌일듯. 나시고랭은 먹을만 합니다. 인도네시아 머물때 외식하면 주로 나시고랭을 먹었음
goodface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17:03 No. 1274107720
10 포인트 획득. ... 힘내세요!
본적은 있으나 구입한적은 아직 없는데 ...시도 한번 해보겠습니다. !
백설마녀 [쪽지 보내기] 2018-12-23 23:33 No. 1274108001
10 포인트 획득. ... 힘내세요!
저는 참포라도 처음들어봤네요..맛이 궁금하네요
Cello [쪽지 보내기] 2019-01-01 09:17 No. 1274114428
9 포인트 획득. ... 힘내세요!
한 번 먹어보고 싶네요
Junmi(박준미)@카카오톡-10 [쪽지 보내기] 2019-01-03 13:10 No. 1274116036
2 포인트 획득. ... 쉬엄 쉬엄~
맛납니다 먹을만해요
자유게시판세부
필리핀 코로나19 상황
신규 확진자
+502
신규 사망자
새 정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.
No. 3719
Page 75